2021 : 자연과 문화 Nature and Culture
2020 : 한국전통 : KR & 네덜란드전통 : NL = ?
진행중
~ongoing
2019 : 한국의 옻칠, 네덜의 블랙체리
2018 : 잊혀지는것의 재구성 프로젝트
2017 : 가이드 인포그래픽
2016 : 이방인의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관찰 일기
2015 : 지저귐
2013 : 초기 인포그래픽 아이덴티티 작업


살풀이의 반주로 사용되는 시나위는 구전
음악으로 악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흥이기
때문에 자유롭지만, 결코 산만하거나
불협화음으로 들리지 않기 때문에 시나위를
두고 ‘부조화 속의 조화’, ‘혼돈속의 질서’라고
말하곤 한다. 즉흥이지만 ‘동시에 꼬리물고
맞물리며 번갈아가는’ 시나위의 구조에는
인공지능으로 잡아낼 수 없는 인간만의 무언의
가치가 존재한다고 생각했고, 이를 평음,
꺾는음, 떠는음, 흐르는음의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흐름과 모양새의 동서양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한국과 네덜란드
전문가들의 검수를 거쳤다. 최소 10년은 전통
악기를 연주해야 이해할 수 있는 소리 구조들을
시각화한 본 작업을 통해, 작가는 전통의
보존에 대한 가치를 질문하고 있다.
Sinawi, used as an accompaniment to Salpuri,
is oral music and does not have sheet music.
It is free because it is improvised, but
because it never sounds distracting or
dissonant, Sinawi is often referred to as
‘harmony in dissonance’ or ‘order in chaos’.
Although improvised, I thought that there is
an unspoken value unique to humans that
cannot be captu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structure of Sinawi's
'Simultaneously Follow Overlap
Alternatively', and this is expressed in
diagrams of flat, pitch down, trembling, and
flowing sounds. In addition, to seek an
understanding of the East and West of this
flow and shape, it was reviewed by experts
from Korea and the Netherlands. Through this
work, which visualizes sound structures that
can be understood by playing traditional
instruments for at least 10 years, Suk
questions the value of preserving tradition.
*‘잊혀져가는 것의 재구성’ 시리즈의 일부로 본
작품은 레드닷 어워드에서 라이브 퍼포먼스
부문에서 위너를, 어도비 어워드에서 탑 탤런트
등을 수상했습니다. (As part of the ‘The
Reframing of Being Forgotten’ series, this
work won the Red Dot Award for Live
Performance, and Top Talent from the Adobe
Awards and more.)
Designer
Sook Go
Design Adviser
Joost Grootens,
Simon Davies,
Gert Staal,
Kim Bouvy,
Bart Guldemond,
Koehorst in ‘t Veld
Simon Davies,
Gert Staal,
Kim Bouvy,
Bart Guldemond,
Koehorst in ‘t Veld
Musical Adviser
So-Yeon Kim, Samuel Vriezen




